[단독]'그날' 국회에 출동한 계엄군 280명 아닌 685명이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지난 3일 선포했던 비상 계엄 당시 국회에 출동한 병력이 총 685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7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부승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특전사령부와 수도방위사령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3~4일 국회에 투입된 병력은 총 685명으로 일부는 국회 밖에 대기하고 일부는 국회 경내에 진입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지난 3일 선포했던 비상 계엄 당시 국회에 출동한 병력이 총 685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7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부승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특전사령부와 수도방위사령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3~4일 국회에 투입된 병력은 총 685명으로 일부는 국회 밖에 대기하고 일부는 국회 경내에 진입한 것으로 파악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특전사령부는 707특수임무단 197명, 1공수특전여단 277명을 투입했다. 수도방위사령부는 군사경찰과 1경비단을 합쳐 총 211명을 투입했다. 이 가운데 특전사령부 소속 474명은 개인화기와 감시장비, 공포탄 등 장비를 동반했다.
부승찬 의원실 관계자는 "이는 지난 6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박안수 전 계엄사령관이 주장한 280명보다 400명 넘게 많은 수치"라고 밝혔다. 국회 사무처 역시 계엄 직후 발표한 피해상황 브리핑에서 "군인 280명이 국회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부 의원 측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국회가 파악한 계엄군 외에도 별도의 병력이 국회에 출동해 대기했다는 의미다.
부승찬 의원은 군에서 제출받은 자료와 박 전계엄사령관의 주장이 다른 것에 대해 "박 전사령관이 일부러 숫자를 축소한 것이 아니냐"며 의혹을 제기했다.
이어 "여인형 방첩사령관의 언론 인터뷰를 종합하면 국회에 투입한 방첩사령부 요원은 70여명으로, (685명과) 모두 합치면 총 750여명의 군인이 국회에 투입된 셈"이라며 "750여명이나 되는 군인을 국회에 출동시킨 것은 국회 계엄 해제를 반드시 저지하고자 하는 의지를 명확한 증거"라고 주장했다.
이승주 기자 gree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시부모 앞에서 "한번 할까?" 요구한 남편…아내는 임신만 '7번' - 머니투데이
- 344만 유튜버 "무난하게 임기 마치길"... 계엄 발언 후폭풍 - 머니투데이
- 남 잘되는 꼴을 못 봐…'정해인' 닮은 붕어빵 사장님 '장사 중단' 왜? - 머니투데이
- '러브레터' 배우 나카야마 미호, 자택서 숨진 채 발견…향년 54세 - 머니투데이
- 딸부잣집 늦둥이 아들, 엄마에 욕설→무기 위협도…오은영 "혐오" - 머니투데이
- 최여진 '불륜설' 해명에도…별거 중 "사랑스러운 아내"? 또 의문 제기 - 머니투데이
- 상의 벗고 "내 여자 돼라" 25세 여배우에 돌진…59세 일본 개그맨 결국 - 머니투데이
- 안재현 "교통사고로 폐 터지고 갈비벼 골절…6개월 입원했다" - 머니투데이
- '파면이냐 복귀냐' D-1…111일 대장정 끝낼 헌재, 결정문 작성 진땀 - 머니투데이
- "故설리와 1년 교제" 친오빠 폭로에…피오 측 "확인 불가"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