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전 "중국인들이 탄핵 찬성" 출처 불분명 게시글 공유했다 삭제

입력
수정2025.01.06. 오전 10:54
기사원문
박지윤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尹 강성지지자 SNS 글 그대로 공유
“언론은 이미 화교에 다 넘어갔다” 주장까지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 페이스북 캡처


친윤계로 분류되는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전 최고위원)이 '중국인들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성 집회에 참여하고 있다'는 취지의 내용을 담은 한 강성 지지자의 글과 사진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공유해 논란이 일었다. 현재 이 게시물은 삭제된 상태다.

김 의원은 5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탄핵 찬성한 한국인들은 보시길. 국가 전복에 동조하신 겁니다. 뉴스 보지 마세요. 언론은 이미 위안화 그리고 한국 말하는 화교에게 다 넘어갔습니다. 스스로 사고하세요 한국인의 입장에서"라고 쓴 한 강성 지지자의 글을 공유했다. 이 지지자는 '탄핵 집회에 참석한 중국인'이라며 출처를 알 수 없는 사진을 첨부했다. 김 의원은 해당 게시글을 공유하며 별다른 견해를 남기지는 않았다.

이 사진이 찍힌 시점과 장소, 이 사진에 찍힌 인물의 실제 국적 등 구체적인 사실 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김 의원이 올린 글에 한 누리꾼은 "(점퍼에 붙어 있는 앰블럼은) 북경 칭화대 마크다. 대한민국에 있는 칭화대 출신 한국인들 및 아직 북경에서 유학 중인 한국인 유학생들이 많은데 잘 알아보고 쓴 건지 궁금하다"고 댓글을 달았다. 이후 '사진의 진위 여부를 알 수 없다'는 논란이 일자 현재 이 게시물은 삭제된 상태다.

앞서 김 의원은 지난 2일 서울 한남동 관저 앞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 집회에 연사로 나와 "가는 곳마다 중국인들이 탄핵소추에 찬성한다고 나선다"고 주장한 바 있다. 4일 열린 윤 대통령 지지 집회 현장에 참여한 김 위원은 "이 탄핵은 사기 탄핵이다"라고 발언하기도 했다.

한편 주한 중국대사관은 5일 한국 거주 중국인들에게 '한국 정치활동에 참여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고 밝혔다. 일부 여당 의원들과 윤 대통령의 강성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윤 대통령 탄핵 찬성 집회에 중국인들이 참가하고 있다'는 주장이 퍼지고 있는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기자 프로필

구독자 0
응원수 0

이슈 365팀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현대인의 일을 탐구하는 콘텐츠 실험실 '커리업(Caree-up)'을 만들며 인터뷰집 <별일, 하고 산다>(2023)를 썼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