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광장 태극기 대신 6·25 조형물.. 오세훈의 '호국보훈' 집착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142 조회
- 목록
본문
오세훈 시장은 3일 오전 시청에서 ‘세종로공원 및 상징조형물 설계 공모’ 시상식을 열고 6·25 전쟁 참전국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은 상징 공간인 ‘감사의 정원’ 조성계획을 밝혔다.
오 시장은 “(6·25 전쟁) 당시 우방국 도움이 없었다면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와 번영은 결코 있을 수 없었을 것”이라며 “600년 우리나라의 중심지로, 대한민국 국가와 국민의 정체성이 오롯이 담긴 광화문광장에 ‘감사의 정원’을 만들어 이곳을 찾는 세계인에게 감동을 전하겠다”고 말했다.
설계공모로 선정된 상징조형물 ‘감사의 빛 22’는 6·25 전쟁 참전국을 상징하는 5.7∼7m 높이의 22개 돌기둥으로 만들어진다. 22개 참전국에서 가져온 석재가 재료로 쓰일 예정이다. 조형물 측면에는 참전국 언어로 시, 문학작품, 글귀 등이 새겨진다. 조형물 아래 지하 공간에는 참전국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감사의 공간이 마련된다.
상징공간과 조형물은 올해 준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상징조형물 옆 세종로공원(세종문화회관 북측)에는 정자와 수경시설, 보행광장 등이 있는 ‘감사의 정원’이 2027년 5월 준공을 목표로 조성된다. 상징조형물 설치 예산 108억원 등 감사의 정원 조성을 위해 624억원의 예산이 들어갈 예정이다.
앞서 오 시장은 지난해 6월 광화문광장에 100m 높이의 태극기 게양대와 함께 조형물 ‘꺼지지 않는 불꽃’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지만 이후 국가주의적 발상이라는 비판이 거세게 일었다. 이에 오 시장은 ‘자유를 위한 희생에 대한 감사’를 주제로 상징조형물을 조성하겠다며 설계 공모를 낸 바 있다.
하지만 광화문광장에 상징공간과 조형물을 만드는 것을 두고 시민사회의 비판 목소리는 여전하다. 김상철 나라살림연구소 정책위원은 “광장의 의미는 다양한 정치·사회적 목소리가 경합하는 열린 공간”이라며 “그런 광장은 시민이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비워야 하는 곳인데 거기에 시설물을 넣으면 광장의 원래 취지가 훼손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 후략 ..
광화문 광장 태극기 대신 6·25 조형물…오세훈의 '호국보훈' 집착 : 네이트 뉴스
관련자료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