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경제 분류

카드사태 이후 최악의 소비 부진.. 계엄 쇼크에 반등도 불투명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65b537c2c430808b4de30f0aa5019a8e_1738576343_4776.webp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재화 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년 대비 2.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2022년부터 3년째 줄어든 것으로, 신용카드 대란 사태가 있었던 2003년(-3.2%)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소매판매가 3년 연속 감소한 것은 199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부문별로 보면 승용차 등 내구재(-3.1%)와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4%), 의복 등 준내구재(-3.7%)의 판매가 일제히 감소했다.


업태별로는 백화점(-3.3%), 대형마트(-2.3%), 전문소매점(-3.4%),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4.1%), 슈퍼마켓 및 잡화점(-5.9%) 등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월간 기준으로도 소매판매는 둔화 흐름을 지속했다.


작년 12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6% 줄어 넉 달째 플러스로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소비심리가 급격히 위축된 점이 소매판매 회복을 지연시키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8.4로 전월보다 12.3포인트(p) 떨어졌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인 2020년 3월(-18.3p) 이후 최대 하락 폭이었다.


지난달에는 91.2로 반등했지만 여전히 기준점인 100을 한참 밑돌았다.


소비자심리지수가 100보다 크면 소비자의 기대 심리가 장기평균(2003∼2024년)과 비교해 낙관적이라는 뜻이고,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올해 상반기까지 소비심리가 살아나긴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소비심리 둔화 현상이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어 올해 1분기 중 민간소비 증가율이 더욱 둔화할 여지가 크다"고 진단했다.


권희진 KB증권 연구원도 "아직 본격적인 소비와 고용의 선순환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안정적인 소득 증가에 기반한 소비 회복은 요원하다"고 분석했다.


다만, 정책당국인 기획재정부는 재화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는 부진하지만 서비스업을 포함한 전체 소비는 플러스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이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를 보면 작년 4분기 민간소비는 전분기보다 0.2% 늘었고, 연간 기준으로도 전년 대비 1.1% 증가했다는 것이다.


서비스업 소비를 가늠할 수 있는 서비스업 생산도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전월 대비 1.7% 늘었다.


.. 후략 ..


카드사태 이후 최악의 소비 부진…계엄 쇼크에 반등도 불투명 < 채권/외환 < 기사본문 - 연합인포맥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 132 / 2 페이지
번호
제목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