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전사, 계엄 9개월 전부터 국회 등 중요 시설 헬기 착륙 장소 점검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026 조회
- 목록
본문
[리포트]
비상계엄 선포 1시간 20여 분 뒤, 특전사 헬기가 국회 상공에 나타났습니다.
헬기는 곧바로 국회 본청 뒤편 운동장에 착륙했습니다.
12대의 특전사 헬기는 707특임단 병력 197명을 공중을 통해 순식간에 국회로 침투시켰습니다.
그런데 내란 9개월 전인 작년 3월, 특전사가 이미 국회에 헬기를 투입할 장소를 점검했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국회 뿐만이 아니었습니다.
특전사는 서울 국가중요시설들의 헬기 착륙 가능 지점을 일일이 확인해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습니다.
국가중요시설엔 국회뿐 아니라 공항, 변전소 같은 시설과 계엄 직후 정부가 단전·단수 조치를 취하려고 했던 MBC 같은 방송사도 포함됩니다.
특전사가 중요시설의 헬기 착륙 지점을 점검한 것은 처음입니다.
게다가 군에서 쓰는 작전지도엔 헬기 이·착륙장이 따로 표기돼 있어 별도의 확인이 불필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윤건영/더불어민주당 의원]
"역대 서울 지역 내에 주요 포스트에 대해서 헬기 착륙 지점을 확인한 적이 없습니다. 특히나 국회에 대해서는 단 한 번도 조사한 바가 없었고요. 당연히 비상계엄과 연계시켜서 의심을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전사는 유사시 대테러부대의 반응시간을 줄이기 위한 것이었다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서울에서 테러가 발생하면 특전사가 아닌 수방사가 대응하게 돼 있습니다.
게다가 국가중요시설 현황은 합참에서 관리하고 있기도 합니다.
합참은 당시 특전사가 헬기 이·착륙장소를 점검했던 국가중요시설의 목록은 비밀이어서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특전사는 작년 3월부터 교도소들을 직접 현장 방문하는가 하면, 국회와 방송사에 대해 내부 설계도면을 요구하는 등 수상한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 후략 ..
https://imnews.imbc.com/replay/2025/nwdesk/article/6683623_36799.html
관련자료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