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사회 분류

'사직 1년' 전공의들 어디에.. 56%는 '일반의'로 병의원 재취업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d6c061f150bb92efc6a10f6c3432b537_1739859347_9098.webp
 

전공의들은 지난해 2월 6일 정부가 의대 입학정원 2천 명 증원을 발표한 이후 일제히 사직서를 제출하고 같은 달 20일부로 근무를 중단했다.


이어 작년 6월 정부의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 철회로 7월부터 병원별로 사직 처리가 시작되면서 전공의들이 일반의로 재취업하는 게 가능해졌다.


일반의는 의대 졸업 후 의사 국가시험에 합격했지만 전공의 수련 과정을 밟지 않은 의사로, 일반의가 과목별로 인턴과 레지던트 과정을 거쳐 전문의 시험에 합격하면 전문의가 된다.


전공의들의 재취업 의료기관을 종별로 보면 5천176명 중 58.4%인 3천23명이 의원급 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다. 이 중 3분의 2가 서울(998명), 경기(827명), 인천(205명) 등 수도권 의원에 재취업했다.


상급종합병원에 재취업한 전공의는 1.7%인 88명에 그쳤고, 병원 815명(15.7%), 종합병원 763명(14.7%), 요양병원 383명(7.4%), 한방병원 58명(1.1%) 등이다.


사직 레지던트 9천222명 중 4천46명은 의료기관 밖에 있는 상태다.


전공의들의 사직과 재취업은 전국 의료기관 인력 현황에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전국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일반의는 모두 1만684명으로, 전공의 사직 전인 2023년 말 6천41명에서 76.9% 급증했다.


의원에서 근무하는 일반의가 4천73명에서 7천170명으로 76.0% 늘고, 병원서 일하는 일반의는 1년 새 204명에서 842명으로 4배 이상 늘었다.


반면 전국 의료기관의 인턴은 2023년 말 대비 96.4%, 레지던트는 88.7% 급감했다.


.. 후략 ..


'사직 1년' 전공의들 어디에…56%는 '일반의'로 병의원 재취업 : 네이트 뉴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964 / 20 페이지
번호
제목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