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산업 분류

현대제철 자회사 희망퇴직 받는다.. '삼중고' 철강업계 인력감축 현실화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d6c061f150bb92efc6a10f6c3432b537_1739862244_5347.webp
 

- 포항2공장 자회사 현대IMC도 '희망퇴직'


1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 자회사인 현대IMC는 오는 21일까지 기술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접수한다. 회사는 퇴직 희망자를 대상으로 잔여 근속 50%(최대허용기준 36개월)를 인정하고 자녀 학자금 지원 1인당 1000만원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현대IMC는 같은 기간 충남 당진에 위치한 또 다른 현대제철 자회사인 현대ITC로의 전환배치 신청도 받고 있다. 전환배치를 신청한 직원은 100명이 넘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내부에서는 현대제철도 조만간 희망퇴직을 받을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현대제철은 지난 2022년 2월 한 차례 희망퇴직을 받은 바 있다.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현대제철은 지난달 초 포항2공장 현대제철 직원들을 당진 공장으로 전환배치하기로 결정했다.


현대제철 내 인력 구조조정이 진행되는 이유는 중국산 철강재 저가공습과 경기 침체에 따른 철강 수요 감소 등 어려움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한 철강업계 관계자는 "최근 현대제철 포항 공장을 중심으로 덩치가 줄어드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했다.


현대IMC는 현대제철 포항공장의 생산, 생산 지원, 정비 부문 자회사다. 포항 2공장은 현대제철 직원 약 200명, 현대IMC 직원 약 200명이 배치돼 제철 공정 중 압연 등 공정을 담당해왔다.


- 인력 구조조정 확산될까...트럼프 관세에 '울상'


이러한 분위기는 철강업계 전반에서 감지된다. 포스코 등 국내 주요 철강사들은 지난해 일부 공장의 셧다운을 결정했다. 실적 부진이 이어지면서 저가재 시장 공급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효율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포스코는 지난해 작년 1선재공장, 포항 1제강공장을 폐쇄했다. 해당 공장 전 직원들은 부내 또는 타 부서로 재배치한 바 있다.


현대제철은 포항2공장에 대해 지난해 11월 직원들에게 전체 가동 중단을 추진한다는 공문을 발송했다. 하지만 한 달여 만에 결정을 철회하고 축소 운영하기로 했다. 노동조합의 반발로 제강 및 압연 공정 모두 기존 4조 2교대 체제에서 2조 2교대로 전환하기로 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철강 수요 부진, 과잉 생산 지속, 중국산 저가 제품 유입, 설비 노후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판단"이라며 "업황 악화로 지난해부터 몇몇 공장들의 가동률을 크게 낮춰 온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근 트럼프 예고대로 쿼터제가 폐지되고 철강 관세가 현실화되면 자회사 뿐 아니라 주요 철강사들의 희망퇴직 등 인력 구조조정이 현실화 될 것이란 우려도 불거진다.


.. 후략 ..


[단독]현대제철 자회사 희망퇴직 받는다…'삼중고' 철강업계 인력감축 현실화 : 네이트 뉴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849 / 20 페이지
번호
제목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