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미국채 팔겠다"더니 환율 위기에 '강달러 베팅' 논란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06 조회
- 목록
본문
26일 공개된 '공직자 재산공개'에 따르면 최 부총리는 지난해 미국채 30년물인 'T1.375 08/15/50'을 매수해 연말 재산신고 시점에 1억9,712만 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채권은 미국 재무부가 2020년에 발행해 2050년에 만기가 도래하는 미국 30년 만기 채권 상품이다. 한국일보는 27일 최 부총리 측에 채권을 매수한 시점이 구체적으로 지난해 언제인지 물었으나 답변을 듣지 못했다. 최 부총리는 지난해 12월 27일 한덕수 총리의 직무가 정지되면서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다.
최 부총리의 업무에 속하는 원·달러 환율시장은 지난해 역대 최악으로 평가받았다. 연초부터 금리인하 가속페달을 밟을 것이라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당초 예상과 달리 속도를 조절했고, 4월부터는 중동 리스크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으로 심리적 마지노선인 "환율 1,400원 돌파는 시간문제"라는 우려가 쏟아졌다.
당시 최 부총리는 "대외 충격으로 금융·외환 시장 변동성이 지나치게 확대되는 경우 필요한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당선됐고, 급기야 12·3 불법계엄이 터지자 정부는 전 국민의 노후자산인 연금기금까지 동원해 환율 방어에 나섰다. 그러나 지난해 연말 종가 환율은 1,472.5원으로 치솟아 외환위기 사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익명을 요구한 시장 전문가는 "환율을 지키겠다던 장관도 달러채를 사는데, 기관들이나 개인들이 한국채를 사겠느냐"며 "해외 기관들이 한국채에 대한 믿음을 철회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행동"이라 지적했다.
더 큰 문제는 최 부총리가 이미 미국채 매입이 부적절하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는 점이다. 최 부총리는 2023년 12월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대통령실 경제수석 시절 1억7,000만 원 상당의 미국채를 매수한 사실이 드러나 문제가 됐다. 당시 야당 의원들은 "환율 폭등을 방어하기 위해 외환을 쏟아붓고 있는 상황에서 환율이 훨씬 높아져야 수익률이 높아지는 미국채를 매수했다" "경제수석으로 계실 때 투자행위가 이뤄진 그 자체에 아무런 문제 의식을 안 가지고 있는 것은 정말 문제다"라며 질타를 퍼부었다. 이에 최 부총리는 "수석으로 있을 때 산 것이 도덕적으로 비판을 받는 게 마땅하다고 생각하신다면 이번 연말에 어차피 재산신고를 하니까 그 전까지 매도를 하겠다"고 밝혔다. 실제 최 부총리는 해당 상품을 팔았다.
.. 후략 ..
관련자료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