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실에서 만난 성폭력범, 치료가 필요한 게 아니었다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82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필자 역시 일상에서 수많은 성폭력 가해자를 알고 지내왔다. 그들은 '아이들을 예뻐하는' 교사들이었고, '성적 엄숙주의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또래들이었으며, '분위기 띄우려 했을 뿐인' 선후배들이었다. 심지어 환자를 살리는 데 열심이었던 교수님도 있었고, 나름 존경받던 활동가도 있었다.
이들 중 누군가는 단지 무지가 죄로 이어졌던 경우였지만, 자신의 언행이 뭐가 문제인지 굳이 알고자 하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다. 물론 누군가는 다분히 자아도취적이기도 했고, 반대로 누군가는 열등감에 시달리는 듯 보였으나 그렇다고 이들 대부분이 '성격 장애'라고까지 일컬을 만한 인격의 소유자는 아니었다. 바로 그 때문에, 맥락에 따라서는 성폭력에 대한 엄벌주의를 외치는 목소리가 달갑지 않을 때도 있다. 특히나 '다수의 선량한 남성들'과 '소수의 나쁜 가해자들'을 구분 짓기 위한 것이라면.
생각보다 평범한 성폭력 가해자들
그렇다면 법적인 문제에 연루되어 진료실을 방문하게 된 가해자들은 어떨까? 당연히 이들은 치료감호소에서나 볼 수 있는 '그들'과는 같지 않다. 필자가 만난 성추행범, 몰카범, 딥페이크범 등 몇몇 가해자들은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이었다. 그나마 특이점이 있던 이들은 지금껏 두 명이었는데 '훔쳐보는 충동을 도저히 억누를 수 없다'고 호소하던 이와 아동학대 피해자였던 지적장애인이었다.
오히려 대부분은 평범한 회사원, 학원강사, 운전기사였으며 성장 과정에서 성적인 트라우마가 있거나 발달력상 특이 사항이 있는 것도 아니었고, 부인이나 애인과도 '정상적인' 성생활을 즐기고 있었다. 그토록 자신들의 괴로움을 호소하다가도 재판이 끝나면 다시는 내원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긴 했지만.
이제 그중 가장 기억에 남는 전형적인 사례 둘을 소개할까 한다. 아래의 사례들은 약간의 각색을 거친 것들이다.
.. 후략 ..
관련자료
-
링크